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은 1892년 시작된 독일 함부르크에서 개최되는 테니스 대회이다. 남자 단식은 1970년 이전 독일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오픈 시대를 거쳐 ATP 마스터스 시리즈, ATP 투어 500 시리즈로 진행되었으며, 로저 페더러가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여자 단식은 1982년부터 2002년까지, 2021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었으며, 슈테피 그라프가 6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톱 14
톱 14는 프랑스의 프로 럭비 유니온 리그로, 14개 클럽이 참가하여 매년 8월부터 다음 해 6월까지 진행되며, 유럽에서 가장 강력하고 상업적으로 성공적인 리그 중 하나로, 스타드 툴루즈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189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
리에주-바스토뉴-리에주는 벨기에 왈롱 지방에서 열리는 가장 오래된 사이클링 클래식 경주 중 하나로, 험난한 코스와 변덕스러운 날씨로 "라 도옌"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함부르크 오픈 |
원어 이름 | Hamburg Open |
종류 | 조인트 (남녀 동시 개최) |
![]() | |
창립 연도 (남자) | 1892년 |
창립 연도 (여자) | 2021년 |
개최 횟수 | 117회 (2023년) |
도시 | 함부르크 |
국가 | 독일 |
장소 | 암 로텐바움 (1924년부터) |
코트 | 클레이 코트 - 야외 |
대회 등급 | |
남자 | ATP 투어 500 (2009년부터) ATP 슈퍼 9 / ATP 마스터스 시리즈 (1990–2008) 그랑프리 테니스 서킷 (1971–1989) |
여자 | WTA 250 (2021–2023), WTA 125 (2024년부터) |
드로 | 32S (단식) / 16Q (예선) / 16D (복식) |
상금 (남자) | (2023년) |
상금 (여자) | $115,000 (2024년) |
웹사이트 | ATP 함부르크 오픈 WTA 함부르크 오픈 |
최근 대회 | 2024년 |
최근 우승자 | |
남자 단식 | 아르투르 필스 |
여자 단식 | 안나 본다르 |
남자 복식 | 케빈 크라비츠 팀 퓟츠 |
여자 복식 | 안나 본다르 킴벌리 지머만 |
2. 역사
1892년 '아이젠반페라인 아우프 데어 울렌호르스트'에서 첫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초기에는 독일과 오스트리아 선수만 참가할 수 있었다.[5] 1898년부터 1901년까지는 바트호름부르크 포어 데어 회에에서 개최되었고, 1902년에 남자 복식 경기가 추가되었다. 1924년, 현재 위치인 암 로텐바움으로 영구 이전했다.[6]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의 역대 우승자 정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979년까지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함께 열렸으나, 이후 여자부 경기는 서베를린으로 옮겨졌다. 1982년에는 WTA 함부르크 토너먼트가 시작되어 남자 독일 오픈 일주일 전에 개최되었다.
1990년, ATP 투어가 창설되면서 ATP 마스터스 시리즈 대회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2009년에는 ATP 투어 500 이벤트로 강등되었다. 토너먼트 관계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했다.[8][9][10][11]
1993년 4월 30일에는 당시 세계 랭킹 1위였던 모니카 셀레스가 8강 경기 도중 칼에 찔리는 사건이 발생했다.[12][13] 범인은 슈테피 그라프의 광팬으로 알려졌다. 셀레스는 이 사건 이후 독일에서 다시는 경기하지 않았다.
2019년부터 토너먼트 로고는 매년 변경되며, 전년도 챔피언십 포인트에서 공의 궤적을 사용하여 로고의 노란색 선을 형성한다.[7]
3. 역대 우승자
남자 단식1892년부터 2020년까지의 남자 단식 우승자 및 준우승자 정보는 하위 섹션인 '남자 단식'에 상세히 나와있다.
여자 단식WTA 함부르크(1982–2002)와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2021년 이후)의 여자 단식 결승전 정보는 다음과 같다.연도 우승자 준우승자 스코어 1982 리사 본더-크레이스 레나타 토마노바 6–3, 6–2 1983 안드레아 테메스바리 에바 파프 6–4, 6–2 1984– 1987 슈테피 그라프 이사벨 쿠에토 6–2, 6–2 1988 슈테피 그라프 (2) 카테리나 말레예바 6–4, 6–2 1989 슈테피 그라프 (3) 야나 노보트나 기권 1990 슈테피 그라프 (4)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5–7, 6–0, 6–1 1991 슈테피 그라프 (5) 모니카 셀레스 7–5, 6–7(4–7), 6–3 1992 슈테피 그라프 (6)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7–6(7–5), 6–2 1993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슈테피 그라프 6–3, 6–3 1994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2) 슈테피 그라프 4–6, 7–6, 7–6 1995 콘치타 마르티네스 마르티나 힝기스 6–1, 6–0 1996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3) 콘치타 마르티네스 4–6, 7–6, 6–0 1997 이바 마요리 룩산드라 드라곰 6–3, 6–2 1998 마르티나 힝기스 야나 노보트나 6–3, 7–5 1999 비너스 윌리엄스 메리 피어스 6–0, 6–3 2000 마르티나 힝기스 (2)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6–3, 6–3 2001 비너스 윌리엄스 (2) 메건 쇼네시 6–3, 6–0 2002 킴 클레이스터스 비너스 윌리엄스 1–6, 6–3, 6–4 2003– 2021 엘레나-가브리엘라 루세 안드레아 페트코비치 7–6(8–6), 6–4 2022 베르나르다 페라 아네트 콘타베이트 6–2, 6–4 2023 아란차 루스 노마 노하 아쿠게 6–0, 7–6(7–3) ↓ WTA 125 ↓ 2024 안나 본다르 아란차 루스 6–4, 6–2
여자 복식WTA 함부르크(1982–2002)와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2021년~) 여자 복식 결승전 정보는 다음과 같다.연도 우승 준우승 스코어 1982 엘리자베스 에크블롬
레나 산딘파트 메드라도
클라우디아 몬테이로7–6, 6–3 1983 베티나 붕게
클라우디아 코데-킬슈이반나 마드루가
캐서린 탄비에7–5, 6–4 1987 클라우디아 코데-킬슈 (2)
야나 노보트나나탈리아 예고로바
레일라 메스히7–6, 7–6 1988 야나 노보트나 (2)
티네 슈어-라르센안드레아 베츠너
유디트 비스너6–4, 6–2 1989 이자벨 드몽조
나탈리 토지아야나 노보트나
헬레나 수코바기권 1990 지지 페르난데스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라리사 네일랜드
헬레나 수코바6–2, 6–3 1991 야나 노보트나 (3)
라리사 네일랜드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헬레나 수코바7–5, 6–1 1992 슈테피 그라프
르네 스텁스마농 볼레그래프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4–6, 6–3, 6–4 1993 슈테피 그라프 (2)
르네 스텁스 (2)라리사 네일랜드
야나 노보트나6–4, 7–6 1994 야나 노보트나 (3)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예브게니야 마니오코바
레일라 메스히6–3, 6–2 1995 지지 페르난데스 (2)
마르티나 힝기스콘치타 마르티네스
파트리시아 타라비니6–2, 6–3 1996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2)
브렌다 슐츠지지 페르난데스
마르티나 힝기스4–6, 7–6, 6–4 1997 안케 후버
메리 피어스룩산드라 드라곰
이바 마요리2–6, 7–6, 6–2 1998 바바라 셰트
패티 슈니더마르티나 힝기스
야나 노보트나7–6, 3–6, 6–3 1999 라리사 네일랜드 (2)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3)아만다 쿠체르
야나 노보트나6–2, 6–1 2000 안나 쿠르니코바
나타샤 즈베레바니콜 아렌트
마농 볼레그래프6–7, 6–2, 6–4 2001 카라 블랙
엘레나 리호프체바크베타 페슈케
바바라 리트너6–2, 4–6, 6–2 2002 마르티나 힝기스 (2)
바바라 셰트 (2)다니엘라 한투호바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6–1, 6–1 2003– 2021 자스민 파올리니
질 타이히만아스트라 샤르마
로잘리 반 데르 호크6–0, 6–4 2022 소피 창
안젤라 쿨리코프가토 미유
알딜라 수트지아디6–3, 4–6, [10–6] 2023 안나 다닐리나
알렉산드라 파노바미리암 콜로지에요바
안젤라 쿨리코프6–4, 6–2 ↓ WTA 125 ↓ 2024 안나 본다르
킴벌리 짐머만아란차 루스
니나 스토야노비치5–7, 6–3, [11–9]
3. 1. 남자 단식
연도 | 우승 | 준우승 | 스코어 |
---|---|---|---|
1892 | 발터 보네 | R.A. 레어스 | 7–5, 6–3 |
1893 | 크리스티안 빈저 | 발터 보네 | 6–4, 6–0, 3–6, 6–3 |
1894 | 빅토르 포스 | 크리스티안 빈저 | 11–9, 6–1, 6–4 |
1895 | 빅토르 포스 (2) | 크리스티안 빈저 | 6–2, 6–1, 6–2 |
1896 | 빅토르 포스 (3) | 게오르그 반젤리우스 | 6–1, 6–0, 6–1 |
1897 | 조지 힐리어드 | 조지 볼-그린 | 6–1, 6–2, 6–3 |
1898 | 해럴드 마호니 | 조슈아 핌 | 6–4, 6–3, 6–4 |
1899 | 클래런스 호바트 | 해럴드 마호니 | 8–6, 8–10, 6–0, 6–8, 8–6 |
1900 | 조지 힐리어드 (2) | 로렌스 도허티 | 부전승 |
1901 | 막스 데큐지 | 프레데릭 W. 페인 | 6–4, 6–4, 4–6, 6–2 |
1902 | 막스 데큐지 (2) | 존 플라벨 | 4–6, 2–6, 7–5, 7–5, 6–0 |
1903 | 메이저 리치 | 막스 데큐지 | 부전승[15] |
1904 | 메이저 리치 (2) | 쿠르트 폰 베셀리 | 6–4, 6–0, 10–8[15] |
1905 | 메이저 리치 (3) | 앤서니 와일딩 | 8–6, 7–5, 8–6[15] |
1906 | 메이저 리치 (4) | 프리드리히 빌헬름 라에 | 6–2, 6–2, 6–0[15] |
1907 | 오토 프로이츠하임 | 메이저 리치 | 7–5, 6–3, 6–4 |
1908 | 메이저 리치 (5) | 조지 K. 로지 | 6–1, 6–1, 6–3 |
1909 | 오토 프로이츠하임 (2) | 프리드리히 빌헬름 라에 | 6–0, 6–2, 6–3 |
1910 | 오토 프로이츠하임 (3) | 쿠르트 베르크만 | 부전승 |
1911 | 오토 프로이츠하임 (4) | 펠릭스 파이프스 | 6–3, 6–2, 6–1 |
1912 | 오토 폰 뮐러 | 하인리히 솜부르크 | 2–6, 6–1, 6–4, 6–2 |
1913 | 하인리히 솜부르크 | 오토 폰 뮐러 | 6–2, 6–4, 7–5 |
1914– | |||
1920 | 오스카 크로이처 | 루이스 마리아 헤이덴 | 6–0, 6–0, 6–2 |
1921 | 오토 프로이츠하임 (5) | 로베르트 클라인슈로트 | 6–4, 8–6 기권 |
1922 | 오토 프로이츠하임 (6) | 프리드리히 빌헬름 라에 | 2–6, 6–0, 8–6, 6–1 |
1923 | 하인츠 란트만 | 루이스 마리아 헤이덴 | 6–2, 6–3, 7–5 |
1924 | 벨라 폰 케를링 | 루이스 마리아 헤이덴 | 8–6, 6–1, 9–7 |
1925 | 오토 프로이츠하임 (7) | 벨라 폰 케를링 | 6–4, 6–1, 4–6, 6–1 |
1926 | 한스 몰덴하우어 | 발터 데사르 | 6–2, 6–2, 6–1 |
1927 | 한스 몰덴하우어 (2) | 빌리 하네만 | 6–2, 4–6, 6–4, 6–4 |
1928 | 다니엘 프렌 | 한스 몰덴하우어 | 6–1, 6–4, 6–3 |
1929 | 크리스티안 부수 | 오토 프로이츠하임 | 6–1, 4–6, 6–1, 6–8, 6–1 |
1930 | 크리스티안 부수 (2) | 오타 요시로 | 1–6, 8–6, 2–6, 6–4, 6–4 |
1931 | 로데리히 멘젤 | 구스타프 야네케 | 6–2, 6–2, 6–1 |
1932 | 고트프리트 폰 크람 | 로데리히 멘젤 | 3–6, 6–2, 6–2, 6–3 |
1933 | 고트프리트 폰 크람 (2) | 로데리히 멘젤 | 7–5, 2–6, 4–6, 6–3, 6–4 |
1934 | 고트프리트 폰 크람 (3) | 클레이턴 리 버웰 | 6–2, 6–1, 6–4 |
1935 | 고트프리트 폰 크람 (4) | 오토 시게티 | 6–3, 6–3, 6–3 |
1936 | 개최되지 않음 | ||
1937 | 헤너 헨켈 | 비비안 맥그래스 | 1–6, 6–3, 8–6, 3–6, 6–1 |
1938 | 오토 시게티 | 베르나르 데스트레모 | 8–6, 6–8, 6–3, 6–3 |
1939 | 헤너 헨켈 (2) | 로데리히 멘젤 | 4–6, 6–4, 6–0, 6–1 |
1940– | |||
1948 | 고트프리트 폰 크람 (5) | 헬무트 굴츠 | 6–4, 6–1, 4–6, 6–3[16] |
1949 | 고트프리트 폰 크람 (6) | 에른스트 부흐홀츠 | 7–5, 6–1, 6–0 |
1950 | 야로슬라프 드로브니 | 고트프리트 폰 크람 | 6–3, 6–4, 6–4 |
1951 | 레나르트 베르겔린 | 스벤 데이비드슨 | 4–6, 6–3, 4–6, 6–4, 7–5 |
1952 | 에릭 스터지스 | 야로슬라프 드로브니 | 6–3, 6–2, 6–3 |
1953 | 버지 패티 | 파우스토 가르디니 | 6–3, 6–2, 6–3 |
1954 | 버지 패티 (2) | 스벤 데이비드슨 | 6–1, 6–1, 7–5 |
1955 | 아서 라르센 | 브와디스와프 스코네키 | 3–6, 6–3, 7–5, 6–8, 6–3 |
1956 | 레우 호드 | 올란도 시롤라 | 6–2, 5–7, 6–4, 8–6 |
1957 | 머빈 로즈 | 피에르 다르몽 | 6–3, 6–0, 6–1 |
1958 | 스벤 데이비드슨 | 자크 브리샹 | 5–7, 6–4, 0–6, 9–7, 6–3 |
1959 | 윌리엄 나이트 | 이안 베르마악 | 4–6, 6–4, 4–6, 6–3, 8–6 |
1960 | 니콜라 피에트란젤리 | 얀-에릭 룬드크비스트 | 6–3, 2–6, 6–4, 6–2 |
1961 | 로드 레이버 | 루이스 아얄라 | 6–2, 6–8, 5–7, 6–1, 6–2 |
1962 | 로드 레이버 (2) | 마누엘 산타나 | 8–6, 7–5, 6–4 |
1963 | 마틴 멀리건 | 밥 휴잇 | 6–0, 0–6, 8–6, 6–2 |
1964 | 빌헬름 붕거트 | 크리스티안 쿤케 | 0–6, 6–4, 7–5, 6–2 |
1965 | 클리프 드리스데일 | 보로 요바노비치 | 6–2, 6–4, 3–6, 6–3 |
1966 | 프레드 스톨 | 이슈트반 굴야시 | 2–6, 7–5, 6–1, 6–2 |
1967 | 로이 에머슨 | 마누엘 산타나 | 6–3, 6–3, 6–1 |
↓ 오픈 시대 ↓ | |||
1968 | 존 뉴컴 | 클리프 드리스데일 | 6–3, 6–2, 6–4 |
1969 | 토니 로치 | 톰 오커 | 6–1, 5–7, 7–5, 8–6 |
1970 | 톰 오커 | 일리에 나스타세 | 4–6, 6–3, 6–3, 6–4 |
↓ 그랑프리 서킷 ↓ | |||
1971 | 안드레스 히메노 | 페테르 죄케 | 6–3, 6–2, 6–2 |
1972 | 마누엘 오란테스 | 아드리아노 파나타 | 6–3, 9–8, 6–0 |
1973 | 에디 딥스 | 카를 마일러 | 6–1, 3–6, 7–6, 6–3 |
1974 | 에디 딥스 (2) | 한스요아힘 푈츠 | 6–2, 6–2, 6–3 |
1975 | 마누엘 오란테스 (2) | 얀 코데시 | 3–6, 6–2, 6–2, 4–6, 6–1 |
1976 | 에디 딥스 (3) | 마누엘 오란테스 | 6–4, 4–6, 6–1, 2–6, 6–1 |
1977 | 파올로 베르톨루치 | 마누엘 오란테스 | 6–3, 4–6, 6–2, 6–3 |
1978 | 기예르모 빌라스 | 보이테크 피박 | 6–2, 6–4, 6–2 |
1979 | 호세 이구에라스 | 해럴드 솔로몬 | 3–6, 6–1, 6–4, 6–1 |
1980 | 해럴드 솔로몬 | 기예르모 빌라스 | 6–7, 6–2, 6–4, 2–6, 6–3 |
1981 | 피터 맥나마라 | 지미 코너스 | 7–6, 6–1, 4–6, 6–4 |
1982 | 호세 이구에라스 (2) | 피터 맥나마라 | 4–6, 6–7, 7–6, 6–3, 7–6 |
1983 | 야니크 노아 | 호세 이구에라스 | 3–6, 7–5, 6–2, 6–0 |
1984 | 후안 아귈레라 | 헨릭 순드스트롬 | 6–4, 2–6, 2–6, 6–4, 6–4 |
1985 | 밀로슬라프 메치르 | 헨릭 순드스트롬 | 6–4, 6–1, 6–4 |
1986 | 앙리 르콩트 | 밀로슬라프 메치르 | 6–2, 5–7, 6–4, 6–2 |
1987 | 이반 렌들 | 밀로슬라프 메치르 | 6–1, 6–3, 6–3 |
1988 | 켄트 칼슨 | 앙리 르콩트 | 6–2, 6–1, 6–4 |
1989 | 이반 렌들 (2) | 호르스트 스코프 | 6–4, 6–1, 6–3 |
↓ ATP 투어 마스터스 1000 ↓ | |||
1990 | 후안 아귈레라 (2) | 보리스 베커 | 6–1, 6–0, 7–6 |
1991 | 카렐 노바체크 | 마그누스 구스타프손 | 6–3, 6–3, 5–7, 0–6, 6–1 |
1992 | 스테판 에드베리 | 미하엘 쉬티흐 | 5–7, 6–4, 6–1 |
1993 | 미하엘 쉬티흐 | 안드레이 체스노코프 | 6–3, 6–7(1–7), 7–6(9–7), 6–4 |
1994 | 안드레이 메드베데프 |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 6–4, 6–4, 3–6, 6–3 |
1995 | 안드레이 메드베데프 (2) | 고란 이바니세비치 | 6–3, 6–2, 6–1 |
1996 | 로베르토 카레테로 | 알렉스 코레차 | 2–6, 6–4, 6–4, 6–4 |
1997 | 안드레이 메드베데프 (3) | 펠릭스 만티야 | 6–0, 6–4, 6–2 |
1998 | 알베르트 코스타 | 알렉스 코레차 | 6–2, 6–0, 1–0 기권 |
1999 | 마르셀로 리오스 | 마리아노 자발레타 | 6–7(5–7), 7–5, 5–7, 7–6(7–5), 6–2 |
2000 | 구스타보 쿠에르텐 | 마라트 사핀 | 6–4, 5–7, 6–4, 5–7, 7–6(7–3) |
2001 | 알베르트 포르타스 | 후안 카를로스 페레로 | 4–6, 6–2, 0–6, 7–6(7–5), 7–5 |
2002 | 로저 페더러 | 마라트 사핀 | 6–1, 6–3, 6–4 |
2003 | 기예르모 코리아 | 아구스틴 카예리 | 6–3, 6–4, 6–4 |
2004 | 로저 페더러 (2) | 기예르모 코리아 | 4–6, 6–4, 6–2, 6–3 |
2005 | 로저 페더러 (3) | 리샤르 가스케 | 6–3, 7–5, 7–6(7–4) |
2006 | 토미 로브레도 | 라데크 스테파넥 | 6–1, 6–3, 6–3 |
2007 | 로저 페더러 (4) | 라파엘 나달 | 2–6, 6–2, 6–0 |
2008 | 라파엘 나달 | 로저 페더러 | 7–5, 6–7(3–7), 6–3 |
↓ ATP 투어 500 ↓ | |||
2009 | 니콜라이 다비덴코 | 폴-앙리 마티유 | 6–4, 6–2 |
2010 | 안드레이 골루베프 | 위르겐 멜처 | 6–3, 7–5 |
2011 | 질 시몽 | 니콜라스 알마그로 | 6–4, 4–6, 6–4 |
2012 | 후안 모나코 | 토미 하스 | 7–5, 6–4 |
2013 | 파비오 포니니 | 페데리코 델보니 | 4–6, 7–6(10–8), 6–2 |
2014 | 레오나르도 마이어 | 다비드 페레르 | 6–7(3–7), 6–1, 7–6(7–4) |
2015 | 라파엘 나달 (2) | 파비오 포니니 | 7–5, 7–5 |
2016 | 마틴 클리잔 | 파블로 쿠에바스 | 6–1, 6–4 |
2017 | 레오나르도 마이어 (2) | 플로리안 마이어 | 6–4, 4–6, 6–3 |
2018 | 니콜로즈 바실라슈빌리 | 레오나르도 마이어 | 6–4, 0–6, 7–5 |
2019 | 니콜로즈 바실라슈빌리 (2) | 안드레이 루블레프 | 7–5, 4–6, 6–3 |
2020 | 안드레이 루블레프 | 스테파노스 치치파스 | 6-4, 3-6, 7-5 |
1892년부터 2020년까지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 남자 단식 우승자와 준우승자, 경기 결과는 위와 같다.
1970년 이전, 오픈 시대, ATP 마스터스 시리즈 시대, ATP 투어 500 시리즈 시대로 구분된다.
3. 2. 남자 복식
제공된 소스는 2008년 함부르크 오픈에서 있었던 라파엘 나달과 포티토 스타라스의 경기 사진에 대한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어, 함부르크 유러피언 오픈의 남자 복식 섹션 내용을 작성하기에는 정보가 부족하다.
3. 3. 여자 단식
1978년까지 남자 대회와 함께 개최되었던 독일 오픈 결승전에 대한 정보는 독일 오픈 (WTA) 과거 결승전을 참조한다.
연도 | 우승자 | 준우승자 | 점수 |
---|---|---|---|
1982 | 리사 본더-크레이스 | 레나타 토마노바 | 6–3, 6–2 |
1983 | 안드레아 테메스바리 | 에바 파프 | 6–4, 6–2 |
1984– 1986 | 개최되지 않음 | ||
1987 | 슈테피 그라프 | 이사벨 쿠에토 | 6–2, 6–2 |
1988 | 슈테피 그라프 (2) | 카테리나 말레예바 | 6–4, 6–2 |
1989 | 슈테피 그라프 (3) | 야나 노보트나 | 기권 |
1990 | 슈테피 그라프 (4) |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 5–7, 6–0, 6–1 |
1991 | 슈테피 그라프 (5) | 모니카 셀레스 | 7–5, 6–7(4–7), 6–3 |
1992 | 슈테피 그라프 (6) |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 7–6(7–5), 6–2 |
1993 |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 슈테피 그라프 | 6–3, 6–3 |
1994 |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2) | 슈테피 그라프 | 4–6, 7–6, 7–6 |
1995 | 콘치타 마르티네스 | 마르티나 힝기스 | 6–1, 6–0 |
1996 |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3) | 콘치타 마르티네스 | 4–6, 7–6, 6–0 |
1997 | 이바 마요리 | 룩산드라 드라곰 | 6–3, 6–2 |
1998 | 마르티나 힝기스 | 야나 노보트나 | 6–3, 7–5 |
1999 | 비너스 윌리엄스 | 메리 피어스 | 6–0, 6–3 |
2000 | 마르티나 힝기스 (2) |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 6–3, 6–3 |
2001 | 비너스 윌리엄스 (2) | 메건 쇼네시 | 6–3, 6–0 |
2002 | 킴 클레이스터스 | 비너스 윌리엄스 | 1–6, 6–3, 6–4 |
2003– 2020 | 개최되지 않음 | ||
2021 | 엘레나-가브리엘라 루세 | 안드레아 페트코비치 | 7–6(8–6), 6–4 |
2022 | 베르나르다 페라 | 아네트 콘타베이트 | 6–2, 6–4 |
2023 | 아란차 루스 | 노마 노하 아쿠게 | 6–0, 7–6(7–3) |
↓ WTA 125 ↓ | |||
2024 | 안나 본다르 | 아란차 루스 | 6–4, 6–2 |
3. 4. 여자 복식
레나 산딘클라우디아 몬테이로
클라우디아 코데-킬슈
캐서린 탄비에
야나 노보트나
레일라 메스히
티네 슈어-라르센
유디트 비스너
나탈리 토지아
헬레나 수코바
마르티나 나브라틸로바
헬레나 수코바
라리사 네일랜드
헬레나 수코바
레네 스텁스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레네 스텁스 (2)
야나 노보트나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레일라 메스히
마르티나 힝기스
파트리시아 타라비니
브렌다 슐츠
마르티나 힝기스
메리 피어스
이바 마요리
패티 슈니더
야나 노보트나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3)
야나 노보트나
나타샤 즈베레바
마농 볼레그래프
엘레나 리호프체바
바바라 리트너
바바라 셰트 (2)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2020
질 타이히만
로잘리 반 데르 호크
안젤라 쿨리코프
알딜라 수트지아디
미리암 콜로지에요바
안젤라 쿨리코프|| 6–4, 6–2
|-
|colspan=4 align=center bgcolor=silver|↓ WTA 125 ↓
|-
| 2024
| 안나 본다르
킴벌리 짐머만|| 아란차 루스
니나 스토야노비치|| 5–7, 6–3, [11–9]
|}
4. 기록
기록 | 시대 | 선수 | 횟수 | 연도 |
---|---|---|---|---|
'1892년 이후 남자부' | ||||
단식 최다 우승 | 오픈 시대 이전 | 오토 프로이츠하임 | 7 | 1907, 1909, 1910, 1911, 1921, 1922, 1925 |
오픈 시대 | 로저 페더러 | 4 | 2002, 2004, 2005, 2007 | |
단식 최다 연속 우승 | 오픈 시대 이전 | 조시아 리치 | 4 | 1903–1906 |
고트프리드 폰 크람 | 1932–1935 | |||
오픈 시대 | 에디 딥스 | 2 | 1973–1974 | |
안드레이 메드베데프 | 1994–1995 | |||
로저 페더러 | 2004–2005 | |||
니콜로즈 바실라슈빌리 | 2018–2019 | |||
복식 최다 우승 | 오픈 시대 | 밥 휴이트 | 6 | 1961, 1962, 1963, 1967, 1970, 1977 |
복식 최다 연속 우승 | 오픈 시대 이전 | 고트프리트 폰 크람 | 3 | 1933–1935 |
밥 휴이트 | 1961–1963 | |||
오픈 시대 | 위르겐 파스벤더/한스-위르겐 포만 | 2 | 1973–1974 | |
토드 브리지 | 2000–2001 | |||
세르히오 카살/에밀리오 산체스 | 1991–1992 | |||
안드레스 고메즈 | 1980–1981 | |||
단식 최다 결승 진출 | 오픈 시대 이전 | 오토 프로이츠하임 | 8 | 1907, 1909, 1910, 1911, 1921, 1922, 1925, 1929 |
오픈 시대 | 로저 페더러 | 5 | 2002, 2004, 2005, 2007, 2008 | |
'기타' | ||||
최다 출전 | 오픈 시대 | 필리프 콜슈라이버 | 16 | 2002, 2005–2012, 2014–2020 |
단식 최다 경기 | 오픈 시대 | 기예르모 빌라스 | 46 | 1973–1975, 1977–1978, 1980, 1983–1988 |
단식 최다 승리 | 오픈 시대 | 기예르모 빌라스 | 35 | 1973–1975, 1977–1978, 1980, 1983–1988 |
'WTA 함부르크 (1982–2002)' | ||||
단식 최다 우승 | 오픈 시대 | 슈테피 그라프 | 6 | 1987–1992 |
단식 최다 연속 우승 | 오픈 시대 | 슈테피 그라프 | 6 | 1987–1992 |
복식 최다 우승 | 오픈 시대 | 야나 노보트나 | 3 | 1987, 1988, 1991 |
아란차 산체스 비카리오 | 1994, 1996, 1999 | |||
복식 최다 연속 우승 | 오픈 시대 | 클라우디아 코데-킬슈 | 2 | 1983–1984 |
야나 노보트나 | 1987–1988 | |||
슈테피 그라프 | 1992–1993 | |||
레네 스텁스 | 1992–1993 | |||
단식 최다 결승 진출 | 오픈 시대 | 슈테피 그라프 | 8 | 1987–1994 |
5. 스폰서
2010년 대회 스폰서는 다음과 같다.
- Konig Pilsener
- 리코
- Grand Elyesee Hamburg
- Tennis Point
참조
[1]
웹사이트
9 Oldest Tennis Tournaments in the World
https://www.oldest.o[...]
2022-08-27
[2]
웹사이트
Moin Ladies. From July 7th to 11th, 2021, the tennis ladies are back in Hamburg!
https://hamburgopena[...]
Hamburg Open
[3]
웹사이트
Die Doppelsieger seit 1902
http://www.ndr.de/sp[...]
ARD
[4]
웹사이트
Hamburg tennis overview
https://hamburg-open[...]
2024-04-23
[5]
서적
Amtliches Tennis-Hand- und Jahrbuch 1927 zum Jubiläum 1902–1927 des Deutschen Tennis-Bundes
Verlag Hermann Meister
1927
[6]
웹사이트
Tradition since 1892
https://hamburg-open[...]
2022-08-18
[7]
웹사이트
Revealed: Inspiration behind Hamburg Open's unusual logo concept
https://khelnow.com/[...]
2023-07-30
[8]
웹사이트
ATP Tour Sued by Hamburg Masters, Accused of Running Cartel
https://www.bloomber[...]
Bloomberg
2007-03-29
[9]
웹사이트
ATP wins crucial anti-trust case
http://news.bbc.co.u[...]
BBC
2008-08-06
[10]
웹사이트
Mediation Set For ATP, Hamburg
http://www.ontennis.[...]
OnTennis.com
2008-12-16
[11]
웹사이트
ATP tennis tour wins antitrust ruling
https://www.reuters.[...]
2010-06-25
[12]
뉴스
TBT, 1993 HAMBURG: MONICA SELES' STABBING CHANGES TENNIS HISTORY
https://www.tennis.c[...]
[13]
뉴스
Tennis star Monica Seles stabbed
https://www.history.[...]
[14]
웹사이트
The WTA Tour returns to Hamburg!
https://hamburg-open[...]
2021-02-11
[15]
서적
Tennis : A Cultural History
https://archive.org/[...]
Leicester University Press
1998
[16]
뉴스
Von Cramm Stages Come-back
http://nla.gov.au/nl[...]
1948-08-10
[17]
뉴스
Win at Hamburg
http://nla.gov.au/nl[...]
1932-08-16
[18]
뉴스
Tennis
http://nla.gov.au/nl[...]
1937-08-10
[19]
뉴스
Fraser And Emerson Win German Doubles Title
http://nla.gov.au/nl[...]
1960-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